🎙️ AI#1: GitHub Copilot Bootcamp 2025 후기
AI2025. 4. 27. 16:50🎙️ AI#1: GitHub Copilot Bootcamp 2025 후기

어제 광화문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열린 GitHub Copilot 부트캠프에 다녀왔습니다. 90명의 개발자가 모여서 입코딩으로 앱을 개발하는 재미있는 행사였습니다. 깃헙 코파일럿을 이용한 바이브 코딩에 대한 4개의 세션이 있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은 코드 작성을 대신해주는 에이전트를 이용한 반복적 프롬프트 코딩입니다. 머지않아 마이크와 엔터키만 있으면 '만들어줘, 고쳐줘, 테스트해줘'처럼 입코딩으로 앱 개발이 가능해 보였습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활약하시는 MS MVP분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코파일럿 부트캠프를 다녀온 리뷰를 공유드립니다. 1. 요약바쁘신 분들을 위한 요약입니다. 부트캠프의 모든 내용은 https://github.com/devrel-..

🥧 pifanctl: 라즈베리 파이를 식혀주는 도구를 소개합니다
DevOps2025. 2. 19. 00:34🥧 pifanctl: 라즈베리 파이를 식혀주는 도구를 소개합니다

아주 아주 특별한 상황이 있습니다. 당신은 라즈베리파이에 PWM 냉각팬을 설치했습니다. 근데 팬을 어떻게 다룰지 모르겠네요. 그런 당신을 위한 유용한 도구, pifanctl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하실 일은 팬을 연결한 핀 변호를 입력하고, 원하는 온도를 입력하는 것 뿐입니다. 그럼 pifanctl이 PWM 모터를 제어하게 됩니다. 설정 온도와 보드의 온도 차가 크다면 팬은 점점 빨리 동작하고,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면 천천히 멈추게 됩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명령어로 쓸 수도 있고, 도커나 쿠버네티스에서도 쓸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제가 만들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pifanctl: Raspberry Pi Fan Controller'을 소개합니다.         ✨ 1. pifanctl 소개pi..

🛥️ Kind#1: 멀티 노드 클러스터 생성하는 명령어 정리
DevOps2025. 1. 7. 02:31🛥️ Kind#1: 멀티 노드 클러스터 생성하는 명령어 정리

테스트를 위해 작은 클러스터를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kind를 이용해 멀티 노드 클러스터를 만드는 간단한 명령어를 정리합니다.    3개의 컨트롤 플레인, 5개의 워커노드를 구성하는 명령어 입니다. YAML을 저장하고 불러올 필요없이 STDIN 방식으로 간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한번에 실행해주세요: KIND_CLUSTER_NAME="cluster-3-5"cat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kind에서 클러스터의 이름은 `cluster-3-5`이고, 쿠버네티스에서 컨텍스트의 이름은 `kind-cluster-3-5` 입니다. 기본적으로 kind에서 클러스터를 활성화하면 컨텍스트가 전환됩니다. 다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세요. # using kubectlkubectl..

⚓️ Helm#1: pull 명령어 정리
DevOps2024. 12. 27. 23:33⚓️ Helm#1: pull 명령어 정리

차트를 로컬에 내려받기 위해 사용하는 `helm pull` 명렁어에 대한 짧은 지식 정리입니다.   헬름 차트를 내려받을 때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합니다. 간단히 정리하겠습니다. ⚓️ 1. 헬름 차트 레지스트리의 경우헬름에서 제공하는 기존 방식입니다. 차트를 추가해야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nginx-ingress를 예시로 하면 다음과 같이 pull 할 수 있습니다.helm repo add nginx https://helm.nginx.com/stablehelm pull nginx/nginx-ingress --untar  ⚓️ 2. OCI 레지스트리의 경우Open Container Initiative(OCI) 규격은 원격 리포지토리의 특정 차트를 바로 지칭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하면 `helm repo ..

🧑‍💻 Amazon EKS Hybrid Nodes: EKS 하이브리드 노드를 리뷰합니다
DevOps2024. 12. 21. 00:56🧑‍💻 Amazon EKS Hybrid Nodes: EKS 하이브리드 노드를 리뷰합니다

AWS re:Invent 2024에서 소개된 EKS 하이브리드 노드를 소개합니다. AWS와 온프레미스 각각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러스터 솔루션입니다. AWS EKS Anywhere, Outposts와 함께 제가 기다렸던 기능인데요. 이번에 소개된 하이브리드 노드는 일반 데스크탑도 EKS에 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좀 더 유연한 하이브리드 클러스터를 구성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다음 AWS 업무에서 가장 먼저 도입을 검토해보고 싶은 기능입니다. 기존 기능들 보다 사용성이 좋을 것으로 기대하는 하이브리드 노드를 리뷰해보겠습니다.      ✨ 1. 소개: EKS 하이브리드 노드올해 AWS Summit Seoul 2024에서 AWS 직원이 곧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EKS 하이브리드 신기능이 ..

💬 애프터 오블완#0: 올해 가장 많이 쓴 앱은?
IRL2024. 12. 19. 19:21💬 애프터 오블완#0: 올해 가장 많이 쓴 앱은?

이번 글은 오늘은 애프터 오블완#0 (2024년 11월 30일) 입니다. 제가 올해 많이 쓴 앱은 k9s 입니다.          주제: 올해 가장 많이 쓴 앱은? DevOps 엔지니어라면 당연히 k9s죠 올해 가장 많이 쓴 앱은 k9s 입니다. 실무에서 쿠버네티스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아주 간단한 도구입니다. 온프레미스와 퍼블릭 쿠버네티스 모두 지원하고, 멀티클러스터도 지원해서 업무효율이 많이 오릅니다. `kubectl` 로 시작하는 많은 명령들을 단축키와 UI로 대신해줍니다. 그것도 터미널에서요! k9s에 대한 소개를 적어둔 제 블로그가 있습니다. DevOps를 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주제별로 많이 썼던 앱을 리스팅해보겠습니다. 개발 도구: Visual Studio Code (..

image